사회 Society

대한민국 담뱃값 인상, 2025년엔 어떻게 될까?

Manpower 2025. 4. 18. 05:09
반응형

담뱃값 인상 논란, 다시 뜨겁다!
대한민국에서 담배 가격은 흡연자뿐 아니라
비흡연자에게도 뜨거운 감자입니다.
2015년 담뱃값이 2,500원에서 4,500원으로 대폭 인상된 이후 10년간 동결된 상황
하지만 최근 물가 상승과 정부의 금연 정책 목표로 인해
담뱃값 인상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죠.
과연 2025년엔 담뱃값이 얼마나 오를지, 어떤 영향을 미칠지 알아봅시다!





담뱃값 인상의 현재와 미래

지금 담뱃값은?
현재(2025년 4월 기준) 대한민국 담배 한 갑 가격은 평균 4,500원입니다.
이 가격은 2015년 1월, 박근혜 정부 시절 2,000원 인상된 이후 변동이 없었어요.
당시 인상으로 성인 남성 흡연율은 43.2%에서 39.4%로 급감하며 금연 효과를 입증했죠.
하지만 10년간 물가가 10% 이상 오른 점을 고려하면
실질적인 담배 가격은 오히려 하락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왜 담뱃값 인상을 추진하나?
정부와 전문가들이 담뱃값 인상을 주장하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흡연율 감소
보건복지부는 2021년 발표한 제5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에서
2030년까지 성인 남성 흡연율을 25%
여성 흡연율을 4%로 낮추겠다는 목표를 세웠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담뱃값을 8,000원으로 올리면
2030년 흡연율이 29.2%까지 떨어질 수 있다고 해요.  


세수 확보
담배에 붙는 세금(담배소비세, 국민건강증진부담금 등)은 1 갑당 3,323원으로
가격의 74%를 차지합니다.
2023년 담뱃세로 약 11조 7천억 원이 걷혔지만
지방교부세 감소로 세수 부족 문제가 대두되며 인상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죠.  
세계보건기구(WHO)도
한국 담뱃값이 OECD 평균(약 1만 1,000원)에 비해 낮다며 50% 이상
인상을 권고한 상황입니다.



예상되는 인상 시나리오
최근 연구와 전문가 의견을 종합하면
담뱃값은 8,000원~1만 원 수준으로 인상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2024년 연구 결과
서울대 연구팀은 담뱃값을 8,000원으로 올리고 금연구역 지정
담배 광고 금지 같은 비가격 정책을 병행하면
2030년 흡연율 24.6% 달성이 가능하다고 예측했습니다.  


10년 주기설
2004년(500원 인상), 2014년(2,000원 인상)을 보면
10년 주기로 담뱃값이 조정됐어요.
2024~2025년이 그 시점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찬반 논란

서민 부담 vs. 건강 증진
담뱃값 인상은 항상 찬반 논란을 낳습니다.  

찬성 측
“담배는 건강을 해치는 물질, 가격을 올려 흡연을 줄이고 청소년 흡연을 막아야 한다!”  

반대 측
“담배는 서민의 작은 낙, 세금만 늘리는 ‘서민 증세’ 아니냐?”
특히 담뱃세는 소득이 낮은 계층에 부담이 더 큰 역진성 문제가 있어
저소득층의 경제적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담뱃값 인상 외의 대안은?
전문가들은 가격 인상만이 답은 아니라고 말합니다.  

담뱃갑 경고 그림 확대
현재 경고 그림은 담뱃갑 면적의 30%에 불과
이를 50% 이상으로 늘리자는 주장

담배 광고·진열 금지
편의점 내 담배 진열을 제한하는 국가가 66개국에 달한다고 해요.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
연령, 소득별로 금연을 돕는 정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결론
담뱃값 인상, 당신의 생각은?
담뱃값 인상은 건강 증진과 세수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는 정책이지만
서민 부담과 역진성 논란은 여전히 풀어야 할 숙제입니다.
2025년, 담뱃값이 8,000원으로 오르면 흡연자들은 어떤 선택을 하게 될까요?
금연을 결심할지, 아니면 계속 지갑을 열지?
결과는 이번연도에 나올 거 같습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