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사를 고민하시는 분들이 많은 시기입니다.
그러나 퇴사를 하게 되면 고민이 많아집니다.
돈 드는 곳이 많다 보니
마음대로 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고민을 하고 계신 분들께
도움을 드리고 싶습니다.
● 최소 3개월치 생활비 모아두기 ●
직장 생활자의 경우는 3개월치 생활비
프리랜서나 자영업자의 경우는 6개월치 생활을 적정 비상금으로 봅니다.
재취업이나 재도전을 시작하기 전까지 필요 시간으로 보는 겁니다.
●쉬는 동안 생활비 분배 ●
균형 잡힌 분배를 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돈이 나가는 3가지 경로를 미리 알아두는 겁니다.
빌린 돈상환
과거에 미리 빌려 쓴 돈을 현재 갚고 있는 거니까 과거형 경제생활
현재지출
지금 먹고사는 문제는 현재형
(고정지출계산)
미래저축
나중을 위해 지금의 일부 떼어 두는 저축은 미래형입니다.
경제생활은 과거, 현재, 미래가 공존합니다.
가장 먼저 계산해야 하는 것은 고정지출입니다.
고정지출을 우선적으로 집계해야 합니다.
그 외에 비용을 생활비로 잡는 것이 바람직한 행동입니다.
● 퇴사 전 회사에서 알뜰하게 챙겨야 할 혜택 ●
퇴직금/퇴직연금
1년에 1개월치 월급으로 계산합니다.
퇴직금으로 누적되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퇴직연금으로 가입되어 있는 경우 등
다양하니 수령조건을 잘 알아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실업급여
고용보험 적용사업장에서 실직 전 180일 이상 근무하고
비자발적으로 퇴사한 경우에 한해
받을 수 있는 생계안정 급여입니다.
근무 일수에 따라 급여 지급 기간도 다르니 확인해 주세요.
건강검진 등 각종 복지혜택
회사에서 제공하는 각종 복지 혜택들이 있습니다.
건강검진 서비스는 챙기시는 게 좋습니다.
사내 상조회 같은 것이 운영되고 있을 경우
퇴사에 대한 지원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단체보험에 가입된 경우 이를 개인 보험으로 이전할 수 있는지를 알아봐야 합니다.
마이너스통장
회사에 소속되어 있을 때 발급하는 게 가장 좋습니다.
퇴사 후에도 개인 신용등급으로
발급은 가능하다지만
아무래도 발급과정이 까다롭습니다.
회사에 있을 때 미리 챙겨두면
훗날 급한 돈이 필요할 때 자금 융통에 큰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당장 `소득`에 집중하기보다 어떤 경험이든 내게 맞는 일을 찾아
나가는 과정으로 생각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장기적 소득 창출 전략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내가 어떤 사람인지
나름의 쓸모와 용도를 찾는 일입니다.
'생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예술인 고용보험,활동준비금 신청방법 (0) | 2025.02.19 |
---|---|
끊기 힘든 단맛, 간식 줄이는 방법 (0) | 2025.02.18 |
팔 들때 아픈어깨, 질환이다? (1) | 2025.02.17 |
국내 여행할때 숙박/식음료 할인받을수 있는 `디지털 관광주민증` (0) | 2025.02.16 |
발렌타인데이, 로마시대 결혼금지에서 시작 (4)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