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Life

프리랜서 돈관리, 어떤 방향으로 하는게 좋을까?

Manpower 2025. 2. 19. 20:17
반응형

수입이 불규칙한 프리랜서

소비계획은 어떤 방향으로 가야 좋을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수입은 불규칙해도 안정적인 소비를 하고 싶은게

프리랜서들의 마음일것 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부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불규칙 속에서 규칙 찾기 ●

`수입을 월별로 기록하기` 입니다.

 

프리랜서는 돈관리에 대한 습관이 중요합니다.

우선 소비계획을 세우고 수입을 월별로 기록하고 관리하는 습관이 필요합니다.

평균 월 수입금액이 어느정도인지 산출해볼 필요가 있는겁니다.

 

월별로

 

일한 날짜

거래처명

계약금액을 먼저 기입해 두고

그옆에

실수령금액

수령날짜를 기록합니다.

 

계약시점과 돈을 받는 시점의 시간차가 생기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불완전한 기억을 돕기 위해서라도 꼭 기록을 추천드립니다.

 

아직 받지 않은 계약금액은 그달의 수입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돈이 입금되어야 비로수 수입이 됩니다.

 

수입은 게약금액이 아닌 실수령 금액으로 계산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예를 들어

사업자등록을 하지 않은 프리랜서의 경우

 

계약금액에서 사업소득세의 경우 3.3%

기타소득세의 경우 22%

원천징수를 제하고 실수령 금액을 받게 됩니다.

 

보통 계약금액을 자신의 `수입` 으로 착각하고 소비계획을 보면 분명 마이너스가 발생하게 됩니다.

 

 

● 프리랜서 목돈마련 ●

적금은 `정액적립식`

목돈 마련을 위한 방법으로 가장 추천하는 방식입니다.

정액적립식 적금은 일정 기간 동안 매달 동일한 금액을 넣는 정기 적금입니다.

따로 신경 쓰지 않아도 자동으로 돈이 모이도록 하는겁니다.

 

만기에 받게 될 금액을 미리 알 수 있기 떄문에 미래 자금 운용 계획을 세우기에 좋습니다.

 

적금대신 `자유적금`

따로 신경 쓸 필요 없이 규칙적으로 일정금액이 모이는 시스템을 구축하는것이

목돈 마련의 핵심입니다.

 

`정액적립식 적금` 을 넣고 남은 돈으로

`자유적립식 적금` 을 활용하는게 제일 좋습니다

 

적금 주기는 금리와 관계없이 1년 단위를 권합니다.

재무관리는 1년 단위의 호흡으로 파악하고

관리하는 훈련이 필요합니다.

1년 동안 모아서 다음 해 새로운 계획에 맞게 쓰거나

다시 모으는 식의 재정리가 필요합니다

 

 

이렇게 정리를 해봤습니다.

프리랜서로 일하시는분들께 도움이 되어 드리고 싶습니다.

프리랜서분들 화이팅입니다!

 

728x90